반응형
이진수 더하기 : 십진수로 더해주고, 다시 이진수로 바꾼다. 이진수로 바꿀때 '0b'가 생기는데 이를 제거해준다.
bin1 = "1001"
bin2 = "1111"
1. str[:] : 슬라이싱
def solution(bin1, bin2):
a = int(bin1, 2)
b = int(bin2, 2)
result = bin(a + b)
return result[2:]
2. str.replace()
def solution2(bin1, bin2):
a = int(bin1, 2)
b = int(bin2, 2)
result = bin(a + b)
return result.replace('0b', '')
반응형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계산하기 with 파이썬 (0) | 2023.04.07 |
---|---|
[프로그래머스] 잘라서 배열로 저장하기 with 파이썬 (0) | 2023.04.07 |
[프로그래머스] 컨트롤 제트 with 파이썬 (0) | 2023.04.05 |
[프로그래머스] 7의 개수 with 파이썬 (0) | 2023.04.04 |
[프로그래머스] 가까운 수 with 파이썬 (0) | 2023.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