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데이터10

[SQL] COUNT() OVER()함수 집계 함수를 사용해 데이터의 값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집계 함수는 결과를 하나의 행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전체 데이터와 함께 집계의 결과를 보고 싶은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를 추가해야 한다. 이때 OVER() 함수를 사용하면 별도의 테이블을 추가하지 않고도 집계 값과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볼 수 있다. 1. 집계 함수 데이터를 통계내는 데 유용한 집계 함수에는 SUM(), COUNT(), MAX(), MIN(). AVG() 등이 있으며, COUNT()를 예시로 사용하겠다. SELECT 뒤에 단독으로 COUNT()가 쓰일 경우, 합계의 결과를 하나의 행으로 보여준다. 전체 데이터가 같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COUNT()의 구성요소들이 무엇이고 어떤 비중으로 더해 있는지 알 수 없다. 다른 데이터들과 함께 .. 2022. 11. 5.
FED도 적자상태가 되다. 0. FED도 적자상태가 됐다. FED의 연속적인 0.75% 금리인상으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졌다. 늘어난 이자가 부담스러운 것은 가계, 기업뿐만이 아니었다. FED도 그동안의 흑자재정이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금리를 제로 수준으론 낮추고 시중에서 국채와 MBS를 매입했다. 그 결과 연준의 자산은 빠르게 늘어났고 현재는 8조 7000억 달러에 이르게 됐다. 2008년 이후 낮아지는 금리 환경 속에서 연준은 보유한 채권으로 수익을 낼 수 있었다. 연준의 대차대조표의 부채에는 통화량, 지급준비금, 역레포, 정부 예금 등이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에는 연준의 부채 대부분은 통화량이었다. 당시 연준은 지급준비금을 늘리거나 줄이는 방식.. 2022. 11. 3.
[DUNE] DODO DEX의 온체인 데이터 분석하기 DUNE에서 DEX 온 체인 데이터를 보다가 다른 DEX의 거래량은 감소하는 추세인데 반해, DODO만이 우상향 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DODO는 이더리움과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에서 동작하는 DAPP인데,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보다 이더리움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더리움 체인 안에서의 DODO DEX의 온 체인 데이터를 쿼리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0. Crypto 시장의 DEX 온체인 데이터 https://dune.com/hagaetc/dex-metrics 금리 상승, QT로 인한 전체 시장의 베어랠리가 진행되면서 크립토 시장도 가격과 거래금액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유독 DODO만이 거래금액이 상승하면서 마켓 셰어가 증가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DOD.. 2022. 10. 29.
2022년 베어마켓 랠리에서는 실질 금리의 하락이 중요하다. 1. 개요 2022년 9월부터 연준의 QT가 2배로 증가하여 진행됨에 따라 자산가격이 하락하는 베어마켓이 진행되고 있다. 시장의 유동성은 더욱 중요해졌고, 유동성을 조달하는 비용인 실질금리가 어떤 방향으로 가느냐에 따라 자산의 가격도 정해질 것이라 생각된다. 실질금리 = 명목금리 - 기대인플레의 식을 참고해볼 때 실질금리가 낮아지기 위해서는 1. 인플레율이 증가해야 하고, 2. 경기침체 우려로 인해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하거나, 중단하는 이슈가 벌어져야 한다. 2. 인플레율 인플레가 상승할수록 연준은 금리인상을 더 해야 하니 주가에 부정적이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단기적인 유동성 측면에서 보면, 인플레율이 올라 실질금리가 떨어질수록 오히려 주가가 오르는 측면이 있다. 2022년 7~8월이 그랬다. .. 2022. 10. 13.
반응형